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외교부로서는 미국도 마찬가지지만 이 워킹그룹이 상당히 유용하게 작동해 왔다는 평가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11시 서울 세종로 정부청사 별관에서 개최한 브리핑을 통해, 시민사회와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한 ‘한미워킹그룹 폐지론’을 이같이 일축했다.   

“한미워킹그룹은 2018년 (6월) 북미정상회담, 9.19 남북정상회담의 후속조치 차원에서 한미 간 더욱더 긴밀히 효과적으로 조율할 필요가 있다는 차원에서 스티브 비건 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결성이 되었다”면서 “남북·북미 간의 모든 현안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대화를 하는 협의체로 자리를 잡았고, 북한과의 교류를 함에 있어서 혹시 제재가 문제되는 부분에 있어서는 그 제재를 어떻게 풀 것인가, 면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면제를 얻을 것인가 하는 부분의 대화도 포함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국내에 우려가 있는 것도 잘 알고 있다”면서 “그러한 것에 대해서도 이번 (이도훈) 본부장의 방미 시 미측과 그런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어떻게 운영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그런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보고를 받았다”고 알렸다.

남북-북미대화가 끊어진 상황과 관련해서는 “한반도 정세 악화 방지를 위한 상황관리에 중점을 두면서 북한의 대화복귀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전방위적으로 계속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 방한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확인드릴 사항이 없다”고 했다. 

강 장관은 3년 전 국회 인사청문회 때 ‘위안부’ 배지를 달고갔던 기억을 떠올렸다. 2015년 12월 한일‘위안부’합의가 피해자들 입장에서 “참 부족한 합의가 아니었나 하는 뜻에서 공감을 하면서 그 배지를 갖고 갔다”는 것.

이어 “외교부가 일본에 대해서는 (위안부 문제 관련) 재협상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면서 “위안부 할머님들께서 가장 바라시는 것은 진정한 사죄”인데 “그런 진정한 사죄는 외교협상으로 받아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이 된다”고 밝혔다.

다만 “이 위안부 문제가 국제인권논의의 하나의 교훈으로 남을 수 있도록 유엔인권이사회라든가 또 전시 성폭력 방지를 위한 (유엔)사무총장 특별대표의 노력에 저희가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참여를 하고 있다”고 알렸다.

(추가, 16:59)

저작권자 © 통일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